이 포스팅에서는 경영 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겠다. 경영 전략은 경쟁 환경에서 왜, 어떻게 어떤 기업들이 다른 기업들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내는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영 전략은 분석, 의사 결정, 행동으로 구성이 되며, 이 과정을 통해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찾는 과정이다. 이러한 경영 전략의 정의는 두 가지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경영 전략의 세 가지 과정
경영 전략은 분석, 의사 결정, 행동의 지속적인 과정으로 구성된다. 경영전략은 기업의 목표와 내적, 외적 환경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리더들은 전략적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러한 의사 결정은 두 가지 근본적인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 먼저, 기업이 어떠한 산업에서 경쟁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 둘째, 결정된 산업에서 어떻게 경쟁해야 하나에 대한 답이다. 이 두 가지 질문은 국내, 국외의 기업 활동에 대한 것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행동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행동하지 않는 의사 결정은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행동에는 기업 리더들이 전략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을 할당하고, 효율적인 조직 구조를 만드는 것들을 포함한다.
경영 전략의 핵심
경영 전략은 궁극적으로 기업들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살아남고, 높은 성과를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첫째, 어떻게 하면 시장에서 핵심 역량을 창출할 술 있을까? 경영자들은 핵심 역량 창출을 위해 기업이 어떠한 방식으로 경쟁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저가 전략으로 많은 고객들을 끌어들일지, 차별화된 서비스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경영자들은 유일하고, 가치 있으며,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어려운 핵심 역량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핵심 역량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영 전략의 네 가지 요소들
경영 전략에는 네 가지 요소들이 있다. 첫째로, 경영자들은 조직 전체의 목표를 항상 먼저 생각해야 한다. 즉, 모든 노력은 기업 전체의 성과와 목표 달성을 위해서 행해져야 하며, 개별 부서들의 이득은 먼저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마케팅 부서는 언제나 더 많은 자금을 할당받기를 원하다. 강력한 마케팅을 위해서는 대게 광고비, 판촉비 등 더 많은 자원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 부서들은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제품들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이렇게 각 부서들의 이해관계가 다를 때, 경영자들은 어느 한 부서의 성과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전체 조직을 위해 어떠한 방향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지를 고려하여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 둘째, 경영자들은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기업에는 주주들, 경영인들 뿐 아니라, 직원들, 고객들, 공급자들, 그리고 기업이 속한 공동체들 등 다양한 이해관게자들이 존재한다. 이 중 어느 한둘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편중된 의사 결정을 내리면,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셋째, 경영 전략은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이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단기적 이득만을 추구하다 보면 장기적인 목표에서 멀어질 수 있고, 장기적 이익만 고려한 의사 결정은 현재의 생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경영자들은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효과성은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로 평가되고, 효율성은 투입된 자원 대비 결과물이 얼마나 나왔는지로 평가된다. 만약 경영자가 단기적 효율성 증가를 위해 기업의 자원을 투여한다면, 장기적 목표 달성은 요원해지고, 효과성은 달성하기 힘들게 된다.
마무리 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영전략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경영전략은 근본적으로 기업들이 더 높은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위해서는 분석, 의사결정, 행동의 세 가지 과정들을 끊이 없이 반복해야 한다. 또한 경영자들은 조직 전체의 목표를 항상 우선시 해야 하며, 다양한 이해 관계들과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이익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